간행물

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

총서
삭제하시겠습니까? 로그인이 필요합니다.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.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.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. 권한이 없습니다.

[미래전연구센터 총서 10] 우주안보의 국제정치학: 복합지정학의 시각

  • 작성자 : 관리자
  • 작성일 : 2024.11.11
  • 조회수 : 1830

차례

 

1 우주안보의 국제정치학: 복합지정학의 시각 _ 김상배

1. 머리말2. 우주지정학의 변환3. 뉴스페이스의 부상4. 우주신흥안보의 창발5. 맺음말

 

1부 우주 지정학의 변환

2 미중 전략경쟁과 우주외교 경쟁 _ 차정미

1. 서론: 강대국 권력경쟁과 우주외교2. 미중 전략경쟁과 우주외교 경쟁3. 중국의 우주몽과 우주외교4. 미국의 우주위협론과 우주외교5. 결론: 미중 우주외교 경쟁과 미래 국제질서에의 함의

 

3 우주지정학의 전환과 우주군사전략: 우주군사혁신 과제 _ 윤대엽

1. 문제 제기2. 우주경쟁과 우주지정학: 역사와 접근 시각3. 올드스페이스와 우주군사전략4. 뉴스페이스와 우주군사전략5. 우주군사혁신의 과제

 

4 러시아의 우주 무기화와 복합지정학 _ 알리나 쉬만스카

1. 서론2. 복합지정학의 논의3. 20세기의 우주 복합지정학4. 21세기 우주의 복합지정학과 러시아·우크라이나 전쟁5. 결론

 

 

2부 뉴스페이스의 부상

5 우주의 상업화와 뉴스페이스: 미중경쟁의 맥락 _ 홍건식

1. 서론2. 탈냉전 이후 우주공간의 복합화3. 미중 전략 경쟁과 우주 상업화 전략4. 뉴스페이스 시대 미중 우주공간 경쟁5. 결론

 

6 우주안보와 기술·경제 안보 _ 유인태

1. 뉴스페이스 시대와 글로벌 우주기술 공급망2. 미국의 우주기술 수출통제 관련 체제 정비3. 결론

 

7 일본의 우주안보 정책과 미일 협력 _ 이정환

1. 서론2. 일본 우주안보 정책의 조건3. 우주개발 정책에서 우주안보 정책으로4. 일본 우주안보 정책의 미일 협력 중심성과 부분적 자립성5. 결론

 

3부 우주신흥안보의 창발

8장 우주 정보·데이터와 지구·인간·군사안보 _ 송태은

1. 시작하며2. 우주기반 정보·데이터와 지구·인간·국가 안보의 관계3. 우주기반 정보·데이터에 대한 위협4. 맺음말

 

9 우주 사이버 안보의 복합적 도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_ 윤정현

1. 들어가며2. 우주 사이버 안보 이슈의 부상과 접근법3. 우주 사이버 안보의 위협 양상4. 한국의 우주 사이버 안보 환경 진단과 대응 방안5. 나오며

 

10 우주 환경 안보의 국제정치학 _ 정헌주

1. 서론2. 우주 환경의 변화와 우주 안보3. 우주잔해와 우주 안보 위협4. 우주 환경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5. 우주 환경 안보의 국제정치: 국제정치학적 접근과 대안적 설명6. 결론

이전글
다음글 [미래전연구센터 총서 9]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